A-LOAD
두 번째 문장은 "Left unchecked, humans and nature will experience catastrophic warming, with worsening droughts, rising sea levels and mass extinction of species."입니다.
해석은 "이대로 방치된다면, 인간과 자연 모두 가뭄 악화, 해수면 상승은 물론 생물 종의 대량 멸종으로 이어지는 재앙적 온난화를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이 두 번째 문장에 정말 어려운 내용이 있습니다. 그런데 살펴보니 단어도 어렵습니다. 제가 원어민 발음으로 이걸 들어봤는데, 솔직히 회화로는 모든 단어를 알아듣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제가 들은 원어민 발음은 표준어였습니다. 만약 누군가 시골 발음이나 자신만의 강한 억양을 동원한다면 무슨 소리인지 알아듣지 못할 정도로 어려운 단어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낙담은 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꽤 많은 미국인 역시 이 문장을 표준어로 들어도 무슨 말인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고, 시골 억양으로 들으면 알아 듣지 못하는 것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
혹시 이 문장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한다거나 회화적으로 알아듣지 못한 걸 두고, 나는 영어에 소질이 없다고 생각할 필요 없습니다.
어려운 단어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catastrophic warming -캐터스트라픽 워어밍- 재앙적인 온난화
worsening droughts -워서닝 드라웃스- 악화되는 가뭄
rising sea levels 해수면 상승
mass extinction of species -매스 익스팅크션 어브 스피쉬즈- 종의 대멸종
발음은 이쯤하고, 본론으로 가죠.
첫 머리 “Left unchecked”는 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현대 영어의 관용구입니다. 여기서 unchecked는 uncheck의 과거분사인 unchecked 형용사로 "통제되지 않은, 확인되지 않은, 관리되지 않은"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leave의 과거분사인 left가 결합했는데, 여기서 left는 ‘~떠나다’가 아닌 ‘남겨지다’의 뜻으로 결합했습니다. 그래서 ‘이대로 방치된다면’으로 번역한 것이죠.
그래서 “Left unchecked”는 언제나 뒤에 will과 같은 미래 시제가 동반됩니다. 거의 완전한 형태의 관용구로 볼 수 있습니다. 단어 각각으로 보지 말고 두 단어를 묶은 관용구로 이해해야 합니다.
Left unchecked는 영어 문장에서 꽤 자주 사용되는 관용구인 때문에 조금 더 살펴봐야 합니다. 만약 이 문구를 대체한다면 다음과 같은 예시가 가능합니다.
If not addressed, humans and nature will experience catastrophic warming...
If not controlled, humans and nature will experience catastrophic warming...
Without intervention, humans and nature will experience catastrophic warming...
If not stopped, humans and nature will experience catastrophic warming...
"If not addressed-해결하지 않는다면", "If not controlled-통제되지 않는다면", "Without intervention-개입하지 않는다면", "If not stopped-멈추지 않는다면" 모두 같은 의미를 전달합니다.
[버려도 되는 설명] 이러한 문구들은 주어와 동사 사이에 부정적인 상황이나 조건을 나타내는 표현을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됩니다
Left unchecked가 자주 사용되는 말이기 때문에 몇 개 더 살펴봅니다. 또 다른 문장을 만들어 본다면 이렇게 가능합니다.
"Left unchecked, the problem will lead to disastrous consequences."
”이 문제를 방치하면 재앙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If left unchecked, the problem will only get worse.“
”만약 방치된다면(통제되지 않은 상태로 남겨진다면), 문제는 더욱 악화될 것입니다.“
”The situation was left unchecked for too long.“
”그 상황은 너무 오랫동안 관리되지 않은 채로 남겨져 있었습니다.“
그러나 left가 빠진 unchecked 단독으로 사용된다면, 확 달라집니다.
”He unchecked the box by mistake.“
”그는 실수로 상자에 체크 표시를 하지 못했습니다.“
Left unchecked는 매우 자주 사용되는 말입니다.
이제 공부할 내용은 분사((分詞)입니다.
분사라는 말은 원래 한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단어입니다. 오로지 영어를 공부하기 위해 도입된 단어인데, 제가 학생 시절 어떤 영어 선생도 이 분사라는 단어를 설명한 적이 없습니다.
중학생이 됐는데, 영어 선생이 ‘현재분사’ ‘과거분사’라며 외우라고 합니다. 그래서 분사라는 단어의 뜻을 물어봤더니 매가 돌아왔습니다. 거의 만삭의 임신한 여선생인데 손톱으로 제 볼살을 꼬집어 피가 났었네요. 그래서 저는 중학생 시절에 영어 공부를 하지 못했고, 다른 친구들도 감히 분사라는 단어의 뜻을 물어볼 엄두를 내지 못했습니다.
그런 걸 질문하면 어떻게 된다는 결과를 제가 경험으로 보여줬으니까요. 가난한 동네에 살다 보니 ‘분사’라는 단어의 뜻을 설명하지 못하는 선생의 눈에 발칙한 놈이 됐던 것이죠. 덕분에 저는 그 표독스러운 여선생 얼굴을 아직도 기억하는 고통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분사라는 단어는 설명을 들어도 어려운 단어입니다. 분사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이렇게 나옵니다.
[분사 (分詞)] 형용사의 기능을 가지는 동사의 부정형. 시제(時制)와 태(態)를 나타내며, 인도ㆍ유럽 어족의 여러 언어에 있다.
중학생이 이걸 이해할 수 있나요?
고등학생은 물론 대학생도 쉽게 이해하지 못하는 말입니다. 이런 문제로 인해 영어 공부를 포기하게 된 사람들이 90%에 가깝습니다.
제가 보기엔 국어사전을 만든 분들도 저 말을 이해하지 못하고 정의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 어떤 영어과 교수에게 물어 그대로 사전적 정의를 마감했다고 보입니다.
오늘 북두문학에서 분사의 정확한 의미를 여러분에게 공표합니다.
분사(分詞)는 동사에서 파생된 형태로, 동사와 형용사의 중간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분사는 동사의 시간, 상태, 방법, 원인 등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그중 동사의 시간 형태에 따른 세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현재 분사(present participle), 과거 분사(past participle), 그리고 미래 분사(future participle)?가 그것이죠.
조금 더 쉽게 설명하면, 분사는 동사의 형태 중 하나인데, 동작이나 상태를 더 자세하게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동사와 형용사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분사(present participle)는 동사의 -ing 형태로 표현되며, 주로 현재 시제와 진행 형태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playing(노는)"은 "play" 동사의 현재 분사입니다.
과거 분사(past participle)는 동사의 -ed, -d, -t, -en, -n, -ne 등으로 끝나는 형태로 표현됩니다. 이는 주로 과거 시제와 완료 형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played(놀았다)"는 "play" 동사의 과거 분사입니다.
미래 분사(future participle)는 동사의 -ing 형태 앞에 "going to"나 "will"과 함께 사용되어 미래 시제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going to play"나 "will be playing(놀 생각임)"은 "play" 동사의 미래 분사입니다. 하지만 실제 영어 문법 일반에서 미래분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공부를 위해 추가한 내용입니다.
이 정도가 기본 답안입니다. 그렇지만 이해하기에는 부족하죠?
예제와 함께 과거분사를 먼저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The broken window needs to be fixed." (깨진 창을 수리해야 합니다.)라는 문장에서 "broken"은 과거분사입니다. 이 분사는 "window(창)"라는 명사와 결합해 "깨진 창문"이라는 형용사형 의미를 만듭니다.
다시 말해, "깨다"라는 동사인 broke의 과거 분사 형태인 broken(깨진)이 window라는 명사와 결합하여 ‘깨진 창’이라는 상태를 표시하는 형용사 형태로 변한 것입니다. 즉, ‘깨다’라는 동사가 그 말을 하는 시점보다 과거에 벌어진 사건 ”깨진‘으로 사용되면서 뒤에 명사와 결합하니, 자연스럽게 그 형태를 설명하는 구문이 만들어진 것이죠.
자세히 보면 분사라는 단어가 사용될 필요가 없습니다. 불필요한 단어를 넣고 영어를 어려운 학문으로 바꾼 것 외 다른 기능이 없는 것이죠. 나쁘게 얘기하면 과거에 영어를 가르치던 누군가가 자신의 학식을 과대하게 자랑하는 방편으로 분사라는 단어가 등장했던 것입니다.
분사라는 단어가 없이도 자연스러운 내용에 분사라는 단어를 넣어 설명하니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설명이 됐던 것이죠. 분사는 없어도 되는 단어였습니다.
어쨌든 우리가 구축한 사회 교육 시스템은 선임자라는 기득권자가 만든 분사라는 용어를 모른 체 할 수는 없습니다. 이미 그걸로 대입 시험도 치르고 있으니까요. 그래서 이 책 ’A-ROAD‘는 대입시험이나 토플 토익을 기술적으로 싫어합니다. 그것들은 다수에게 영어를 배우지 못하게 하는 나쁜 방편이기 때문입니다.
정상적인 사람이 1~2년이면 말할 수 있는 영어를 10년으로 늘려 학과 혹은 과목을 유지하도록 하는 인류 최악의 낭비적 요소가 토플 토익입니다. 1년이면 될 내용을 10년 넘게 가르쳐야 먹고 살 수 있으니, 그 안에 인간 사회의 잔꾀가 얼마나 많을지는 부연할 필요도 없습니다.
한국의 최종적인 영어 교육 진정한 목표는 다수를 탈락시키는 데 있습니다. 너무 흥분하기 전에 The broken으로 문장을 좀 더 공부해보죠.
"The broken vase shards scattered on the floor."
(깨진 꽃병이 바닥에 흩어졌다.)
"The broken clock no longer ticked."
(망가진 시계는 더 이상 째깍이는 소리를 내지 않았다.)
"The broken window let the cold air in."
(깨진 창문으로 찬 바람이 들어왔다.)
위의 문장들에서처럼 분사라는 용어를 버리면 분사가 보입니다. 과거분사는 거의 예외 없이 뒤에 명사가 옵니다. 하지만 ’반드시‘라고 말하면 틀린 답이 될 수 있는데, 문제는 과거분사 뒤에 부사나 형용사가 오는 매끄러운 문장을 만들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쯤만 말해도 꼬이기 시작하죠? 그래서 분사라는 단어에 의미를 두면 곤란합니다.
잘못된 영어 교육을 설명하는 문장을 하나 예로 들겠습니다.
"The broken chair wobbled when I sat on it.“
이 문장을 번역하라고 하면 대부분 다음과 같은 답이 나옵니다.
"부러진 의자에 앉았을 때 의자가 흔들렸습니다.“
"내가 의자에 앉았을 때 부서진 의자가 흔들렸습니다.“
"부러진 의자는 내가 앉았을 때 흔들렸다.“
실제로 우리의 많은 영어교재에서는 이런 식의 문장을 만들고 해석과 문법을 공부합니다. 그런데 저런 문장은 실제에서 단문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치에 맞지 않는 내용이니까요.
3개의 해석 모두, 부러진(부서진) 것을 알고 의자에 앉은 경험을 말하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부러진 의자인 것을 알면서 거기에 왜 앉습니까?
처음부터 만들어지지 않는 문장입니다.
하지만 저 문장의 앞에서 어떤 특정한 상황이 만들어졌다면, 다음과 같은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망가진 의자는 내가 앉았을 때 흔들렸다.“
망가진 것을 알면서도 앉을 수밖에 없었던 어떤 종류의 강요적 상황이 앞에서 나왔을 때만 저런 문장이 가능한 것이죠. 즉, 저런 문장은 단문으로는 성립할 수 없습니다.
한마디로 저런 단문을 제시하고 공부하는 자체가 모순인데, 우리의 영어 교재는 많은 부분에서 이런 방식을 사용합니다. 영어 공부를 어렵게 만드는 절정의 노하우입니다.
이제 “Left unchecked, humans and nature will experience catastrophic warming, with worsening droughts, rising sea levels and mass extinction of species.” 중 Left unchecked에 대한 과거분사 설명을 끝내겠습니다.
다음 편은 선구자들이 현재분사로 이름붙인 문장 구조 설명입니다.
[박사로 올림]